임신기간동안 받은 정부지원 총정리 (실제후기)
출산율이 저조한 이 시점에 정부에서는 정말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혜택들은 알면 챙겨받고 모르면 놓치는 혜택들인지라, 부지런히 정보를 찾아서 신청해야 받을 수 있다.
나 역시도 그 중 받지 못한 지원제도들이 많다. 미처 알지 못해 받지 못한 것도 있고 게을러서 받지 못한 것, 그리고 알지만 나의 상황과 무관한 것들. 예를 들면 자동차보험(게을러서 못 받음), 신생아특례대출(나와 무관함) 등은 내가 직접 받은 것이 아니라서 패스!
실제 내가 받은 내용들만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건강보험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임산부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는 임신·출산과 관련된 의료비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바우처 제도이다.
산부인과에서 임신확인서를 발급해주면 신청가능하며, 기본적으로는 100만원의 지원을 받지만 쌍둥이 임신시에는 140만원, 청소년의 경우 120만원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카드사에서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으면 되는데, 카드 발급시 혜택을 받고자 한다면 미즈톡톡, 베베폼 등의 사이트를 통해 카드를 발급받으면 된다. 카드사에 따라 사은품이 다른데 비싼 거로는 카시트, 유모차 등도 있지만 괜찮은 브랜드인지 찾아보지 않았다. 나에게 가장 최고의 사은품은 현금 11-13만원이기 때문에, 현금으로 받으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카드 발급 후 의료비를 제외하고 개별적으로 11만원을 결제했어야 했는데 해당 조건을 미처 알지 못했다. 혹시 위의 사이트에서 카드를 발급한다면 꼭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해야 한다. 나중에 알고나서 어찌나 아쉬웠던지.
나중에 병원비 관련한 포스팅을 따로 할 예정이지만, 나는 임신 중 특별한 이슈가 없었고 35세 이상이라 추가 지원금을 받아 출산 당일까지 바우처 금액이 남았고 수술비에 보태 쓸 수 있었다. 병원에서 진료 후 카드를 드리며 말씀드리면 바우처 금액으로 차감된다. 얼마나 썼는지 확인은 건강보험 앱에서 확인 가능하다.
산부인과, 한의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출산까지 했는데도 바우처 금액이 남은 경우 신생아 의료비로 사용이 가능하다. 혹시 안타깝게 유산된 경우에는 한약 등으로 몸조리하는 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임산부 뱃지, 엽산, 철분제, 기타 각 지역별 축하선물 (각 지역 보건소)
임산부 뱃지 받으려고 보건소 가서 선물을 한보따리 받아왔다. 임신 초기에 먹어야 하는 엽산을 챙겨주셨고 도봉구에서는 그외 손세정제와 임산부용 칫솔 치약, 임산부 수첩을 챙겨주셨다. 임신 중기에는 철분제를 받으러 한 번 더 다녀왔는데 철분제와 함께 유산균도 함께 챙겨주셨다. 인터넷이나 약국에서 임산부용으로 비싼 영양제들을 판매하는데 찾아보니 보건소에서 주는 영양제와 큰 차이가 없는 것!
굳이 큰 비용 들여서 사기보다는 보건소에서 지원해주는 영양제로 대채했다. 추가로 구매한 영양제는 비타민D 뿐이었다.
(철분제의 경우 병원 검사에서 수치가 낮게 나와 결국 보험 처리되는 액상철분제를 받기는 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서울시)
대중교통, 택시, 기차, 주유비를 지원해주는 제도로, 서울시에서는 70만원을 지원해준다. 임신확인서 발급 후 3개월 이후부터 출산 후 약 6개월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신한카드를 제외(신한카드는 국민행복카드만 가능)하고, 다른 카드사는 일반카드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나 나는 국민행복카드로만 결제했었다. 주유할 때만 사용했었는데 결제시 자동으로 바우처 사용이 되고 잔액은 카드사 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서울시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교통비 지원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 같으니 해당 지역의 지원제도를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북스타트 (서울시)
교통비 신청하면서 함께 신청되었던 엄마북돋움 지원사업. 신청하면 몇일 뒤 택배로 책이 배송된다.
미리 선정된 책들 중 랜덤으로 배송되는 듯. 부모를 위한 육아책 1권과 아이를 위한 책 2권이 에코백에 담겨온다.
내가 받은 육아책은 "아이의 마음을 읽는 내면 육아"인데, 아이가 좀더 큰 뒤에 유용한 정보들이라 아직 아껴놓고 있는 중.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50만원 지원 (서울시)
35세가 넘으면 의료비 추가지원이 가능하다. 아무래도 나이가 많으면 임신 중 추가 이슈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이러한 지원제도가 생긴 듯.
하나의 예로 1차 기형아 검사에서 목투명대가 두껍다는 이상소견시 받는 니프티검사가 50만원이라, 1차 기형아 검사가 불안하다면 니프티검사로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나는 1차 기형아 검사에서 정상판정을 받아 니프티검사는 받지 않았고 일반 진료 영수증들을 모아서 출산 후에 온라인으로 신청했다.
개인카드로 결제 후 결제영수증과 세부영수증(세부진료내역서)를 증빙자료로 제출해야 한다. 나는 이 제도를 미처 몰라서 이미 임신 중기까지는 바우처를 사용했었고, 뒤늦게 알게된 후부터 개인카드를 사용했는데 결국 50만원을 모두 채우지 못해 약 35만원 정도 지원받았다. 임신 후기에는 생각보다 큰 비용이 들지 않아 35세 이상이라면 미리 초기부터 50만원을 채우는 것이 좋다. (백일해 주사와 철분주사는 지원받을 수 있는지 확신이 없어 바우처로 결제했다.)
온라인으로 신청한 후 몇일 뒤 보건소에서 전화와서 제출한 증빙파일 중 제외대상에 대해 설명해준다. 나는 임테기 두 줄 확인 후 너무 일찍 병원에 가서 첫 진료 때 소변 검사로 임신 확인을, 두 번째 진료 때에는 아기집만 보이고 세 번째에 아기 심장이 확인되어, 세 번째 방문에서 임신확인서를 받게 되었다. 첫 진료와 두 번째 진료 때의 비용 약 15만원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즉, 임신확인서 발급시점부터 지원이 가능하다.
지원받을 수 있을지 애매한 상황인 경우는 일단 함께 증빙자료로 제출하기를 추천한다. 지금 돌이켜보면 백일해주사와 철분주사도 일단 증빙자료 제출 해볼껄 싶다. 안 되면 말고 라는 밑져야 본전이지 마인드를 왜 생각하지 못했을까. (참고로 홈페이지에서는 다산콜센터 120에 문의하라고 하나, 그분들은 자세한 내용은 모르고 홈페이지에 적혀있는 사항을 똑같이 물어보신다. 차라리 보건소에 물어보는 것이 더 정확)
이렇게 다섯 가지 지원을 받아 현재는 무사히 출산 후 50일 된 아이를 키우고 있다.
정부의 지원 덕분에 임신 기간 동안 들어간 비용이 크게 없음에 감사하다. 부지런히 검색하고 알아보면 출산시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찾아보고 신청하여 그 혜택을 누리기를.